이번 시간은 kbs 사업지사 전화번호 및 문의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kbs tv수신료 등의 이유로 안내면 어떻게 되고 방송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한전과의 분리고지, 분리징수 이후 TV수신료 해지 방법이 궁금해진 분들이 있을 겁니다.

KBS를 시청하지 않더라도 TV 또는 수상기가 있다면 해지할 수 없으니 해지 전에 다른 조치부터 취할 필요가 있지만 티비가 없는 상황이라면 전화로 쉽게 해지 요청을 할 수 있는데요.
아파트, 오피스텔의 경우 관리사무소에 연락해서 TV수상기 미소지 확인서를 작성하면 추후 집을 방문해 TV가 없음을 확인하여 조치를 취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지만 관리사무소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곳에 거주하고 계신 분들은 KBS 고객센터 또는 해당 지역의 사업지사로 연락해서 해지 신청을 하셔야 되는데요.
KBS 고객센터로 전화를 해봤으나 연결이 원활하지 않고 대기 시간이 길거나 전산 불일치, 민원 조회 오류 등의 문제로 불만을 갖게 된 분들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수상기를 소지하고 등록하지 않으면 1년분의 수신료에 해당하는 추징금을 내야 되고 고지된 수신료를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을 경우 수신료의 3%에 해당하는 가산금이 부과될 수 있어요.
뿐만 아니라 추징금이나 가산금을 내지 않으면 KBS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을 얻어서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강제징수도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티비는 없고 불필요한 요금이 빠져나가고 있는 분들은 수신료 관련 문의로 각 지역별 사업지사로 연락해서 해지 요청을 하시면 되는데 이런 방법을 아예 모르고 계속 납부하고 있는 분들도 상당히 많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깔끔하게 해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지 알고 싶으실 텐데 kbs 사업지사 전화번호, 상담사 연결 방법을 알려드릴 테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
KBS 사업지사 지역별 연락처
대표적으로 알려진 KBS 고객센터(수신료 콜센터)는 1588-1801번이지만 전화 연결이 어려워 지역별 수신료 사업지사의 전화번호를 알고 싶은 분들도 있을 거라 생각하는데요.
이럴 땐 포털 사이트 검색으로 KBS 홈페이지에 들어간 다음 [수신료]-[지역별 수신료 사업지사 안내]를 클릭하면 지역별 사업지사 연락처를 알아볼 수 있으니 확인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빠른 이동을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버튼을 만들어드릴 테니 클릭하면 쉽게 넘어갈 수 있을 거예요.

KBS 수신료 페이지가 열리면 KBS 수신료 사업지사 연락처 안내 내용이 나오는데 2번을 보면 지역 사업지사로 ‘지역별 사업지사 연락처 안내 바로 가기‘가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니 클릭해 줍니다.
그러면 전국에 있는 지역별 방송총국/사업지사 등의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니 거주하는 지역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찾아 연락해서 해지 요청을 하시면 될 거예요.

수도권(강북/강남/인천/경기남부/경기동부/경기북부)
강원권(춘천방송총국/강릉방송국/원주방송국)
충청권(대전방송총국/천안/홍성/청주방송국/충주 방송국)
영남권(부산방송총국/울산방송국/창원방송총국/진주방송국/대구방송총국/구미/안동방송국/포항방송국)
호남권(광주방송총국/목포방송국/순천방송국/전주방송총국/군산)
제주권(제주방송총국)
수신료 민원 1:1 문의 방법
번호는 찾았는지 통화량이 많아서 그런지 연결되지 않고 있어 답답하신 분들은 다른 방법으로 KBS 홈페이지 내 1:1 문의를 이용해서 해지 요청을 하실 수도 있는데요.

해당 서비스는 로그인을 해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므로 우측 상단 [로그인]을 클릭해서 계정 정보를 입력 후 로그인부터 해주시고 접속된 상태에서 맨 하단을 보면 [1:1 문의]가 있으니 클릭해 줍니다.
그러면 1:1 메일 문의 화면이 나오는데 신규 문의 탭이 선택된 상태에서 ‘수신료 민원‘을 선택하고 수신료 면제 대상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수신료면제/면제해제신청을 클릭하세요.

이어서 제목, 연락처, 주소, 메일주소, 내용을 작성하면 될 것이며 원활한 고객 상담을 위해 개인정보 수집·이용 안내를 알릴 테니 항목에 체크 후 [등록]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1:1 메일 문의를 이용하면 굳이 kbs 사업지사 전화번호를 알아볼 필요 없이 해결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간단히 알려드렸는데요.
아무래도 전화로 해지하는 방법이 좀 더 편할 테지만 전화 연결이 안 되고 있거나 연락할 수 없는 상황인 분들은 KBS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로그인하고 1:1 문의를 이용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수신료 해지 요청이 처리되더라도 수신료 해지를 요청한 신고 시점을 기준으로 처리되는 것이라서 이전까지 납부되었던 비용은 환불받을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예전까지 KBS 방송을 애청했었던 분들이고 한 달에 2,500원 정도로 큰 비용은 아지만 티비가 없고 보지도 않는데 TV 수신료로 빠져나가는 건 부당한 청구가 분명하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러므로 수신료 면제 사유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해지 신청을 해보시고 문의 등록을 하면 추후 KBS 수신료콜센터 민원 담당자로부터 답변을 받게 될 것이며 수신료가 부과되지 않게 처리된 것을 안내할 테니 확인해 보시면 될 거예요.
아무쪼록 도움 되는 내용이었길 바라며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와 꿀팁을 알려드릴 테니 많은 관심과 방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 by 화니
URL 주소 공유는 OK, 내용 및 사진 무단 전재-재배포 또는 AI 학습 포함은 활용 금지